통계청이 9월 1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가 5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1년 전보다 무려 2.6% 올라 2012년 4월 이후 최대폭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6~1.0% 수준에 머물렀지만 올 초부터 오르기 시작했다. 올해 들어 전년 대비 상승률은 1.9~2.2% 선에서 등락을 계속했지만 8월부터 더 오른 것이다.

물가 급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품목은 채소·과일값과 기름값이었다. 신선식품지수가 지난해 8월보다 18.3% 올랐다.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0개 품목의 가격을 나타내는데 그중에서도 신선채소와 과일이 22.8% 급등했다.

신선식품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전체 농·축·수산물 가격은 12.2% 상승했고, 전체 물가를 0.96%p나 올리는데 주효했다. 무더위와 폭우로 날씨 영향을 받는 채소와 과일의 특성이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석유류는 전년 동월 대비 3.6% 올라 상승폭이 확대됐다. 국제유가 조정으로 가격이 안정되면서 전월 대비 0.5% 오르는 데 그쳤지만 다시 반등한 것이다. 미국의 원유 재고가 축소되면서 국제유가가 오른 탓이다.

전기·수도·가스는 1년 전보다 8% 상승했다. 지난해 여름 한시적으로 전기료를 인하해 에너지 가격이 낮아진 기저효과로 올해 상승 폭이 컸다.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7% 상승했다. 2011년 12월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이다. 식품이 5.9%, 식품 이외는 2.5% 상승했다. 전·월세를 포함한 생활물가지수는 3.4% 올랐다.

정부는 추석 대비 성수품을 확대 공급하고 채소류 등 가격불안 품목에 대한 특별수급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으로, 향후 수급 여건이 개선되고 전기요금 기저효과가 소멸하면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둔화된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정부의 대책이 수립되어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둔화되기 전까지는 공공요금과 먹거리 상품의 공급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공급 여건에 맞춰 먹거리 품목 등을 조절하는 비수기 지출 최소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아이러브PC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