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서비스업 비대면‧디지털화에 박차를 가한다. PC방은 직접적인 지원 업종은 아니지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3월 3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제3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정부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서비스 산업을 비대면‧디지털화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스마트 시스템 구축 지원을 비롯해 성장성이 높은 8개 분야를 지원하는 ‘서비스 산업 코로나19 대응 및 발전 전략’을 확정했다.

오는 2025년까지 서비스 산업 부가가치 비중을 65%까지 확대하고 일자리 30만 개를 창출하는 것이 목표다.

우선 코로나19 적응‧극복 지원을 위해 재정‧세제‧금융 등 전방위 지원과 비대면‧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기초 인프라 혁신에 R&D와 신규 표준 통계 개발 등 전방위적으로 나선다.

유망 서비스업으로 포스트 코로나 종합 관광 전략, 신 의료 서비스, 콘텐츠 문화 비대면 활성화, 스마트 물류 개발 등을 육성한다. 또 생활밀착형 서비스업으로 비대면 외식‧공유숙박을 제도화, 도소매 디지털화, (개인) 경역혁신 지원 및 규모화 유도, 고령친화산업을 고도화한다.

이외 한걸음 모델 등을 통해 수용가능한 규제 혁신에 나서고,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을 조속히 입법하겠다는 계획도 담겼다.

OTT와 게임 등이 육성 대상에 포함되었는데, 소비가 아닌 콘텐츠 개발로 핀셋 지원된다.

PC방이 직접적인 지원 대상으로 지목되지는 않았으나 중소영세상점 10만 곳에 스마트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과 음식 업종에 키오스크를 지원하는 사업은 PC방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많은 PC방이 휴게음식업을 함께 운영하고 있고, 선불결제기 및 모바일 결제 체계가 확산되고 있어 접목 가능한 영역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기존에 추진하다가 중단됐던 스마트오피스 등은 생활밀착형 서비스업이자 고령친화산업에도 교집합이 있는 만큼 재차 추진해볼 가치가 크다.

만약 선불결제기에 먹거리 관련 기능이 더욱 고도화되고, 모바일 결제 연동이 확대된다면 PC방 운영에 적지 않은 편의와 집객 효과가 유발될 수 있으며, 스마트오피스가 시행된다면 장기적인 사업 안정성과 공익성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비대면 솔루션이 고도화되면 인력 의존도가 낮아진다는 이점도 부연된다.

물론 한 개인이 결과를 도출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구조이기 때문에 협단체가 인프라를 활용해 정책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PC방을 플랫폼으로 활용해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교집합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모두발언 중인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 = 기획재정부)

 

저작권자 © 아이러브PC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