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개방형 OS를 이용키로 하면서 PC방 업계에도 대체 OS에 대한 기대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 이하 행안부)는 2월부터 개방형 OS 도입전략을 수립하고, 이르면 10월쯤 행안부의 일부 PC에 개방형 OS를 도입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개방형 OS는 하반기부터 시작될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도입될 예정인데, 가상 PC 환경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형태다.

행안부는 올해를 시작으로 행정기관에 단계적으로 개방형 OS를 확산할 방침으로, 5년으로 지정된 PC 내구연한이 끝나는 2026년부터는 대부분의 공무원이 개방형 OS를 사용하게 될 전망이다.

정부는 오래 전부터 대체 OS의 필요성을 인식해 왔으나 안정성과 사후관리 등의 문제로 인해 번번히 도입 의지를 접어야 했다. 전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리눅스 전문가들을 섭외해 대체 OS에 대한 가능성과 방향성을 논의하기도 했지만 실행으로 옮기는 데는 현실의 벽이 높았다.

하지만 이번 개방형 OS 도입은 조금 상황이 다르다. 공무원 PC 전체에 대해 교체‧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 업무용 PC는 그대로 윈도우를 탑재하고, 인터넷용 PC만 가상화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대체되는 형태다.

PC 하드웨어의 성능이 그만큼 발전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결국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제품을 주로 이용하는 것은 변함없다.

더욱이 관공서에서 인터넷용으로 도입하는 것이기에 민간 시장에서 개인이 이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게임 등이 커버전될 계획은 아직 전무하다. 이러한 여러 이유로 인해 분명 2026년 전까지 관공서에 공급될 리눅스 버전이 대중화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다만, 이 과정에서 일반을 대상으로하는 안정적인 리눅스 버전이 개발되고, 이와 더불어 리눅스용 소프트웨어 생태계가 조금은 더 활성화된다는 점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소프트웨어 생태계가 조성된다면 2026년 이후 서서히 리눅스 대응 게임 클라이언트가 윈도우용과 함께 배포될 가능성이 생긴다는 의미이며, 적어도 노하드서버가 리눅스로 구축되는데 있어 안정성과 대중성이 높아질 가능성도 높다.

정부의 개방형 OS 도입 정책이 근 시일 내 게임 시장에 변화를 줄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노하드서버의 서버 OS 다양화와 안정성 등은 직접적으로 연관이 돼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정부의 개방형 OS 도입 정책과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정책에 따라 리눅스, 서버, 네트워크 분야 등에서는 정부 지원사업이나 국책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보여 PC방 협단체 및 관련 산업에서는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아이러브PC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