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은 지난 2014년에 세계 최초로 현금 없는 사회를 위한 추진위원회를 발족했고, 프랑스는 현금 결제 상한액을 1,000유로로 제한했으며, 스웨덴은 대중교통 요금의 현금 결제를 제한했다. 이 같은 ‘현금 없는 사회’가 우리나라에서도 본격 추진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1월, ‘지급결제 비전 2020’을 발표하면서 2020년까지 ‘동전 없는 사회’를 위한 도입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현금 1만 원을 지급하고 9천5백 원의 상품을 구입했다면 거스름돈 5백 원을 가상계좌에 입금해 주는 방식이다.

다만, 한국은행은 ‘동전 없는 사회’를 도입하더라도 동전 사용을 아예 금지하는 상황은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되면 PC방은 정부 방침에 따라 동전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가상 계좌 입금 방식은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진화한다.

한국은행이 ‘동전 없는 사회’를 구현하겠다고 나선 것엔 다양한 배경이 있다. 우선 지난해 처음으로 카드 사용률이 현금 사용률을 뛰어넘어 이미 절반은 현금 없는 사회가 됐다. 또 동전을 만드는 비용이 액면가보다 높다는 것이다. 10원짜리 동전의 제작비용은 30~40원 수준이다.

그러나 계층 간 갈등을 부추길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50~60대 등 고령층에서는 현금 사용을 선호하고 있고, 10~20대 젊은 세대는 카드 사용을 선호하고 있다. 무엇보다 전자결제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은 계층은 ‘동전 없는 사회’가 될 경우 생활이 불편해질 수 있다.

PC방의 경우 10~20대가 주요 고객층이라는 점에서 ‘동전 없는 사회’가 구현되더라도 고객들이 빠르게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강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편의에 따라 얼마든지 병행해 운영할 수 있다.

하지만 수입이 100% 노출되는 환경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PC방 업주들에게는 다소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실제 신용카드 가맹 등 카드 사용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싶어도 매출이 노출되면 세금 부담이 커진다는 생각에 신용카드 가맹조차 신중한 업주들이 많은 것이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다만, 정부가 나서 ‘현금 없는 사회’를 추진한다는 점은 주목해야 한다. 또한 1회 카드 사용 금액이 1천 원 수준으로 점점 낮아지고 있고, 현금 사용률을 뛰어 넘고 있다는 점에서 ‘동전 없는 사회’, ‘현금 없는 사회’가 먼 얘기만은 아닌 것이다.

이에 따라 PC방 업주들은 2020년까지 정부가 마련하는 ‘동전 없는 사회’의 추진 방향을 주목하고 점진적으로 ‘현금 없는 사회’를 대비하는 새로운 형태의 운영방식을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아이러브PC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