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세먼지 PM2.5 농도 절반 이하로 줄었지만 실외보다 높다며 문제 지적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가금연지원센터가 서울 시내 PC방의 금연정책 시행전과 후의 실내 PM2.5 농도변화 연구를 발표하고 PC방의 실내공기가 금연 이전보다 좋아졌지만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 보건대학원 등의 연구팀(김정훈, 김태현, 황윤형, 이기영)이 서울 시내 PC방 34곳을 선정해 PC방 전면금연 시행 이전(2013년 4월 27일~5월 18일)과 이후(2014년 2월 8일~3월 15일)의 실내 미세먼지(PM2.5) 농도 등을 반복 조사한 내용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PC방의 실내 PM2.5 평균 농도는 전면금연 전 139.6㎍/㎥에서 금연정책시행 후 55.7㎍/㎥로 감소했다. 금연정책 시행 전후 흡연 담배 개비 수는 8.4개(±5.5개)에서 1.9개(±3.5개)로, 담배꽁초 수는 52.6개(±38.6개)에서 10.7개(±19.5개)로 각각 줄었다.

여기서 말하는 PM이란 공기 중 에어로졸 형태로 존재하는 입자상 물질을 가리키는 말이다. 뒤에 붙은 숫자는 입자의 크기를 나타낸다. PM2.5는 크기가 2.5㎛인 입자상 물질이며 주로 담배 관련 오염물질이 여기에 속한다.결과적으로 연구 결과에서는 PC방 전면금연 이후 PC방의 실내 PM 수치는 1/2이하로 낮아졌다. 하지만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가금연지원센터 이 같은 결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PC방의 실내 공기가 미흡한 수준이라며, 실외 농도(27.8㎍/㎥)보다 약 2배, 미국 대기환경기준(NAAQS) 35㎍/㎥과 비교해 약 1.6배 높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보도자료를 통해서는 실내에서 흡연실과 금연실을 분리하거나 환기하는 것만으로는 간접흡연 노출을 제거할 수 없다며 공공장소에 대한 전면적 금연정책만이 청소년이 이용하는 PC방의 간접흡연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문제는 300제곱미터 이상 PC방에 의무화된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에서 PM2.5라는 미세먼지는 측정 대상도 아니라는 점이다. 현재 PC방에 일정 농도 이하 유지가 의무화된 오염물질은 미세먼지의 경우 PM10이며, 이산화탄소, 폼알데하이드,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라돈, 휘발성유기화합물, 석면, 오존 등이다.

이 때문에 PC방 업계에서는 정부에서도 특별히 문제 삼지 않는 오염물질을 두고 지나치게 PC방에 대한 규제 강화를 주장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더구나 PC방 업주들의 희생으로 상당히 개선된 결과가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발표를 하는 것은 미리 목적을 정하고 연구결과를 짜깁기 한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 PC방 업계 관계자는 “실내에서는 얼마의 농도를 유지해야 적합한 것인지 기준도 정하지 않고 무조건 실외와 비교한 결과로 비판하는 연구 결과 분석은 그 의도를 의심케 한다”며 “법에서 정한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은 PC방보다 어린이집이 더 심각했었는데, 다른 업종과 비교하거나 실내 농도 유지 기준 등을 함께 첨부해야 분석결과에 신빙성을 얻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아이러브PC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